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65

Day 18. 지금 하고 있는 일에서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 이진선님의 에 나오는 전문성의 여섯 기둥(태도, 지식, 기술, 사고력, 커뮤니케이션, 디렉팅)과 자기 발견 글쓰기에서 추가된 '브랜딩'을 같이 포함시켰다. UXUI / 프로덕트 디자이너 UXUI의 전문성을 키우고 있다. UX/기획을 하며 고객 분석, 문제 정의, 문제 해결 방법, 서비스 이용 플로우를 배우고, UI/디자인에서는 UI 트렌드, 디자인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 고객 중심적인 사고를 가지게 됨. 다양한 고객 분석 방법과 심리 이론을 추후 개인 서비스 기획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음. (*페르소나, 저니맵, 휴리스틱) 최근에는 문제 정의와 본질에 집중하며 일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고안 중이다. 잘못된 해결 방식을 고민하면서 시간을 버리지 않고 본질적인 문제를 제대로 정의할 수 있.. 2022. 1. 28.
프리랜서 D-day 81 루틴 - 아침 일기 😇 - 삼시세끼 챙겨먹기 ✅ - UXUI 컨텐츠 1개 이상 보기 ✅ - 재테크 컨텐츠 1개 이상 보기 ✅ - 독서 ✅ - 3D 모델링/연출/렌더링/변환 ✅ - 중국어/영어 ✅ - 1일 1포스팅 ✅ # 아침일기 # 삼시세끼 챙겨먹기 ⏰ (아침) ❌ ⏰ (점심) 11:30 am 육회 ⏰ (저녁) 7:00 pm 생고구마 1개, 그레놀라 ⏰ 12:00 am 생고구마 작은 것 2개 # UXUI 1일 1컨텐츠 https://brunch.co.kr/@13335218e68a4e8/90 [채용공고 톺아보기] #4 서비스 기획 포폴 꿀팁? 레디미의 채용공고 분석 콘텐츠 #4 사용자의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서비스 기획자 PM, PO, 서비스 기획, 서비스 운영, 서비스 관리.. 다 비슷해 보이는데 뭐가.. 2022. 1. 28.
Day 17. 나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세 사람 1. 이진선님 지금 진행 중인 자기발견 글쓰기로 인하여 삶과 일, 사람에 대한 태도가 변하는 것이 확실하게 느껴진다. 물론 이전에도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표면적인 이유에 그쳤던 것 같다. 도움이 되지 않는 것보다는 도움이 되는 것이 나으니까. 그리고 어쩌면 착한 아이 콤플렉스 때문이었을 수도 있다. 누군가 왜 일을 하냐고 물어봤을 때 돈을 벌기 위해서라는 답변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는 것이 훨씬 가치있는 사람쳐럼 느껴질테니까. 이전의 생각이 가짜는 아니었지만 확신을 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그저 좋은 게 좋은 거라는 생각만 있었을 뿐이다. 그래서 많이 답답했었고. 그러나 내 과거를 돌아보고 나에게 영향을 미친 것들을 꾸역꾸역 끄집어내다보니 나는 정말 의미있는 .. 2022. 1. 27.
프리랜서 D-day 82 루틴 - 아침 일기 😇 - 삼시세끼 챙겨먹기 😅 - UXUI 컨텐츠 1개 이상 보기 ✅ - 재테크 컨텐츠 1개 이상 보기 ✅ - 독서 ✅ - 3D 모델링/연출/렌더링/변환 ✅ - 중국어/영어 ✅ - 1일 1포스팅 ✅ # 아침일기 # 삼시세끼 챙겨먹기 ⏰ (아침) ❌ ⏰ (점심) 12:10 am 웜랩 2/5 ⏰ (저녁) 9:20 pm 불고기 두부 덮밥 # UXUI 1일 1컨텐츠 https://blog.gangnamunni.com/post/Architecture-sync/ PO,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개발 아키텍쳐까지 알아야하나요? 나도 개발을 배워야하나.. 생각했다면 그럴 필요 없습니다. by 강남언니 블로그 blog.gangnamunni.com UXUI에도 우선순위 파악해야할 듯. 개발지식도 물론 중요하지.. 2022. 1. 27.
울림을 주는 사람 이야기, 글, 말 등으로 울림을 주는 사람은 대단하다. 어쩌면 그저 생각으로 지나칠 수 있었던 감정을 좋은 번역 과정을 거쳐 보는 이로 하여금 생각하고 자신의 삶을 발전시키는 자양분으로 삼게 만드는 일. 그리고 문득 나도 살아오면서 많은 경험을 했고 누군가에게는 이러한 경험담이 필요할 수 있는데 그저 썩혀두는 것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아직 부족하고 모르는 것도 많기에 내가 무슨 책을 쓴다고, 난 아직 부족한 사람이라고 부정을 많이 했지만 내 이야기로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는 욕구가 스멀스멀 올라온다. 지금 재테크 공부가 아니라 자기발견에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 아닐까. 앞으로 내가 집중해야할 부분은 울림있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다. 장사꾼이 아닌 조력자가 되고.. 2022. 1. 26.
Day 16. 내 일을 방해하는 가장 큰 장애물은 무엇인가요? 중력 문제(Gravity Problem)란 통제할 수 없는 가짜 문제다. "중력만 없었어도 편하게 올라갈 수 있을 텐데!" 오늘의 주제는 *SWOT 분석을 활용해보면 좋을 것 같다. 나의 강점과 약점, 외부의 기회와 위협. 여기서 중력 문제는 외부에 있다. 나를 날아가지 않도록 붙잡아두는 좋은 중력일 수도, 과하게 짓누르는 나쁜 중력일 수도 있다. 공통점은 내가 컨트롤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것이다. 부정적인 것들은 쿨하게 무시하고 긍정적인 것들은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좋겠다. * SWOT :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의 머리글자를 모아 만든 단어로 경영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분석 도구 강점과 약점은 내 안에 있다. 아직 나의 강점과 약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 같고 지금껏 약점을 개선.. 2022. 1. 26.
프리랜서 D-day 83 오늘 할 것 - 자기발견 글쓰기 (15일차 작성, 14일차 보충) ✅ - 사용자 여정 지도 관련 주요 사항 정리 😇 루틴 - 아침 일기 ✅ - 삼시세끼 챙겨먹기 ✅ - UXUI 컨텐츠 1개 이상 보기 ✅ - 재테크 컨텐츠 1개 이상 보기 ✅ - 독서 ✅ - 3D 모델링/연출/렌더링/변환 ✅ - 중국어/영어 ✅ - 1일 1포스팅 ✅ # 아침일기 ⏰ 1:43 am 늦었지만 오전에 업무를 하고 조금 여유를 가지고 일기를 쓰는 중. 어제 밤에 정말 갑자기 우울했는데 오늘은 또 괜찮아졌다. 자기 전에 를 읽고 잤다. 그래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감정기복이 너무 심하고 감정 컨트롤이 되지 않는 것이 미숙하다고 생각해서 평온한 사람이 되고 싶었던 적이 있다. 부처같은 사람이 되자고. 감정을 잘 느끼지 않는 사람이 되.. 2022. 1. 26.
Day 15. 제대로 된 중요한 일에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고 있는가? 지금은 정식적으로 육체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다. 거창하지는 않지만 하고 있는 것도 많고, 해야할 것도, 하고 싶은 것도 많은데 이런저런 저울질 사이에서 쉽사리 우선순위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 육체적인 혼란 IT 기업의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일을 하고 있다. 주업무는 고객 분석, 기획, 디자인이고 개발에 들어가면 개발자 분들을 대응하고 배포하기 전에 간단한 QA도 진행하고 있다. 운영차원에서는 타부서와 주기적으로 잡힌 정기 회의가 일주일에 4개가 있다. 진행하는 프로젝트마다 더 늘어나기도 한다. 최근에는 프로덕트 디자인팀 리더가 되었기 때문에 신입 두 분의 이슈 리뷰를 도와드리고 있고 따로 정기 리뷰 회의와 스터디를 계획하여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내 직군의 일은 아니지만 3D 모델링 업무도 병행 중이.. 2022. 1. 25.
프리랜서 D-day 84 | 울증 루틴 - 아침 일기 😇 - 삼시세끼 챙겨먹기 😅 - UXUI 컨텐츠 1개 이상 보기 ✅ - 재테크 컨텐츠 1개 이상 보기 ✅ - 독서 ✅ - 3D 모델링/연출/렌더링/변환 ✅ - 중국어/영어 ✅ - 1일 1포스팅 ✅ # 아침일기 # 삼시세끼 챙겨먹기 ⏰ (아침) ❌ ⏰ (점심) ❌ ⏰ (저녁) 8:20 pm 닭죽 # UXUI 1일 1컨텐츠 https://deep-wide-studio.tistory.com/15 고객 여정 지도 Customer Journey Maps [탐구 도구] 고객 여정 지도 Customer Journey Maps란 무엇인가 고객 여정 지도는 서비스 사용자의 경험을 생생하고 체계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고객이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터치 deep-wide-studio.ti.. 2022. 1. 25.
Day 14. 나의 전문성은 어느 단계에 있을까? # 일을 잘 한다는 것 일을 되게 만들어야 한다. 조직의 구성원이라면 일을 잘하는 것은 내가 맡은 것만 잘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 같다. 기획자라면 기획서만 잘 만든다고 끝이 아니다. 관련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기획서를 작성하는 것은 기본이고 그 기획이 실제 서비스로 구현될 수 있도록 디자이너와 개발자와 잘 소통을 하면서 서비스를 만들고 배포를 해야한다.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다. 이쁘게 만드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고객 관점에서 플로우를 생각하여 UI 작업을 해야하고 각종 엣지 케이스를 고려해 개발자와 소통을 해야한다. 개발자도 그렇다. 기획과 디자인에서 정해진 그대로 개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더 좋은 구현 방법이 있다면 역으로 제안을 할 줄 알아야한다. 결국 다양한 직군의 사람들이 모여서 소통하며 함께.. 2022. 1. 24.
프리랜서 D-day 85 오늘 할 것 - 저니맵 학습하기 ✅ 루틴 - 아침 일기 😇 - 삼시세끼 챙겨먹기 ✅ - UXUI 컨텐츠 1개 이상 보기 ✅ - 재테크 컨텐츠 1개 이상 보기 ✅ - 독서 ✅ - 3D 모델링/연출/렌더링/변환 ✅ - 중국어/영어 ✅ - 1일 1포스팅 ✅ # 아침일기 ⏰ 3:13 am 아침은 아니다. 뭔가 아침일기를 쓴 것 같았는데 열어보니 적혀있지 않았다. 상상 속에서 쓴 것일까... 1) 내가 감사하게 여기는 것들 - 아직 9시간 남았다 ^^.. 2) 오늘을 기분 좋게 만드는 것 - 방금 커피와 크로플을 시켰다. - 잠을 충분히 잤다 😇 3) 오늘의 다짐 - 커피 마시고 사용자 여정 지도 알아보자. # 삼시세끼 챙겨먹기 ⏰ (아침) ❌ ⏰ (점심) 12:00 pm 생고구마 1개? 2개? ⏰ 2:30 닭죽.. 2022. 1. 23.
Day 13. 동료의 글 사실 글을 쓰는 목적이 내 생각을 적어보면서 나를 더 알아가자는 것도 있었지만 나와 비슷한 사람들,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그들은 어떤 고민을 하고 선택했는지 많은 것을 얻어가자는 것도 있었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너무 내 글을 쓰고 인증하는 것에만 급급했던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글을 쓰고 인증을 하면 거의 자정이 되었기 때문에 피곤하다는 이유로 다른 분들의 글을 깊게 보지 않고 있었다. 오늘은 동료의 글을 읽고 소감을 적는 것이 주제였다. 이렇게 또 외부적인 요인으로 동료들의 글을 읽게 되었지만 역시나 얻는 것이 많았다. 나와 비슷한 성향의 분도 있었고 조금 다른 성향의 분도 있었지만 공통점은 모두 자기 자신을 더 잘 알고 '나의 일'을 하고 싶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모두 일에 진.. 2022. 1. 23.